국내외 AI 서비스 이용 경험에 대한 최신 통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인공지능 기술이 일상생활에 빠르게 통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한국 내 AI 서비스 이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국제 평균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것입니다. 생성형 AI 분야에서는 그 격차가 더욱 두드러지며, 국내외 모두 전체 AI 서비스보다 생성형 AI 이용률이 낮게 나타났지만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AI 서비스 이용률 비교
국내와 국제 AI 서비스 이용률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장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전체 AI 서비스 이용률에서 국내는 60.3%인 반면 국제는 89.7%로 약 29.4%p의 차이가 있습니다. 더욱 눈에 띄는 것은 생성형 AI 이용률의 격차로, 국내는 33.3%에 그치는 반면 국제는 84.6%로 무려 51.3%p의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러한 통계는 글로벌 시장에서 인공지능 서비스가 더 광범위하게 수용되고 있으며, 특히 생성형 AI 기술이 국제적으로 훨씬 빠르게 보급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국내 AI 서비스 이용률 추이
국내 AI 서비스 이용률은 연도별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32.4%에서 시작하여 2022년 42.4%, 2023년 50.8%, 그리고 2024년에는 60.3%까지 상승했습니다. 이는 3년 만에 약 27.9%p 증가한 수치로, 연평균 9.3%p씩 증가한 셈입니다.
특히 생성형 AI의 경우, 2023년 17.6%에서 2024년 33.3%로 1년 만에 약 2배(15.7%p 증가) 성장했습니다. 이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의 등장과 함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과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연령별 AI 서비스 이용 현황
AI 서비스 이용률은 연령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인 연령대는 6~19세(66.0%)와 30대(65.8%)였으며, 이어서 20대(61.0%), 40대(57.9%)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50대(43.7%), 60대(27.3%), 70대(11.9%)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용률을 보였습니다. 특히 70대의 경우, 전년 대비 7.9%p 감소하여 디지털 격차가 오히려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 분야
생성형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단순 정보검색이 81.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어서 문서작업 보조(44.4%), 외국어 번역(40.0%), 창작 및 취미활동 보조(15.2%), 코딩 및 프로그램 개발(6.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외국어 번역 분야의 사용률이 전년 대비 11.3%p 증가하여 가장 큰 폭의 성장을 보였으며, 문서작업 보조(7.7%p 증가)와 창작 및 취미활동 보조(6.6%p 증가) 분야도 상당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AI 서비스 만족도와 인식
AI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분야별로 차이를 보였습니다. 교통 분야(자율주행 등)가 98.3%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분야에서 90%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향후 이용 의향이 가장 높은 분야는 주거 편의(가사 지원 로봇, IoT 가전 등)로 58.7%의 이용 의향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픽플리의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생성형 AI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 추천지수(NPS) 조사 결과, ChatGPT는 -3점, Gemini는 -26점, 하이퍼클로바X는 -40점 등 대부분의 AI 서비스가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결론
국내외 AI 서비스 이용경험 통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AI 서비스 이용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는 국제 평균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분야에서 그 격차가 더욱 두드러지며, 이는 한국 시장에서 AI 기술 수용에 대한 도전과제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연령별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젊은 세대는 높은 이용률을 보이는 반면 고령층은 낮은 이용률을 보이며 디지털 격차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고령층을 위한 AI 리터러시 교육과 접근성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생성형 AI는 주로 정보검색, 문서작업, 번역 등 실용적인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더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서비스의 정확성과 신뢰성, 개인정보 보호 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므로, 이러한 측면을 개선하는 것이 AI 서비스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가 될 것입니다.
2024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자료로, 국내 AI 서비스 이용률과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률의 증가 추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직장인 생성형 AI 활용 설문 조사 : 나우앤서베이가 진행한 조사로, 생성형 AI 플랫폼별 사용 경험 및 만족도와 불편한 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2023 인터넷이용 실태조사 최종보고서: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작성한 보고서로, 국내 연령별 AI 서비스 경험률 및 생성형 AI 확산에 대한 분석을 제공합니다.
공공부문 AI 활용현황 분석: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조사한 자료로, 국내외 공공부문에서 AI 활용 현황과 사례를 비교 분석한 내용입니다.